책함께 읽어요
[나의 끝 예수의 시작] 1주차 4일 65~81쪽
Author
김찬주
Date
2021-01-28 07:23
Views
770
다른 이들의 성공을 축하할 줄 모른다면 필시 교만의 병에 걸린 것이다. 이미 받은 복에 대해 감사할 줄 모르는 것도 같은 병의 증상이다. 자신이 모든 것을 누려야 한다는 생각에 사로잡히면 무엇에도 감사할 수 없다. 뭐든 자기 손에 넣어야만 직성이 풀린다. 특권의식에 빠져 있는가? 모두의 인정을 받지 않으면 견디지 못하는가? 모두가 당신의 성과를 알아주기를 바라는가? 그렇다면 당신은 바리새인이다.
Total 238
Number | Title | Author | Date | Votes | Views |
Notice |
[공지] PDF 영어와 한글 모두 읽어주는 앱입니다.
박상도목사
|
2020.08.18
|
Votes 1
|
Views 8232 | 박상도목사 | 2020.08.18 | 1 | 8232 |
237 |
[순종] 4주 17일차 286 - 303쪽 (1)
김현정
|
2021.06.22
|
Votes 0
|
Views 1089 | 김현정 | 2021.06.22 | 0 | 1089 |
236 |
[순종} 4주 16일차 268~285쪽
이보경
|
2021.06.21
|
Votes 1
|
Views 851 | 이보경 | 2021.06.21 | 1 | 851 |
235 |
[순종] 3주 15차 251 - 267쪽 (1)
김현정
|
2021.06.18
|
Votes 1
|
Views 906 | 김현정 | 2021.06.18 | 1 | 906 |
234 |
[순종] 3주 14일차 234 ~ 250쪽
이보경
|
2021.06.17
|
Votes 0
|
Views 814 | 이보경 | 2021.06.17 | 0 | 814 |
233 |
[순종] 3주 13일차 217-233쪽 (1)
박은희
|
2021.06.16
|
Votes 1
|
Views 876 | 박은희 | 2021.06.16 | 1 | 876 |
232 |
[순종] 3주 12일차 200 - 216쪽 (1)
김현정
|
2021.06.15
|
Votes 1
|
Views 844 | 김현정 | 2021.06.15 | 1 | 844 |
231 |
[순종] 3주 11일차 183 - 199쪽
이보경
|
2021.06.14
|
Votes 0
|
Views 845 | 이보경 | 2021.06.14 | 0 | 845 |
230 |
[순종] 2주 10일차 166 - 182쪽 (1)
김현정
|
2021.06.11
|
Votes 1
|
Views 849 | 김현정 | 2021.06.11 | 1 | 849 |
229 |
[순종] 2주차 9일 149 ~ 165쪽
이보경
|
2021.06.10
|
Votes 0
|
Views 919 | 이보경 | 2021.06.10 | 0 | 919 |
228 |
[순종] 2주차 8일 132-148쪽
박은희
|
2021.06.09
|
Votes 1
|
Views 864 | 박은희 | 2021.06.09 | 1 | 864 |
227 |
[순종] 2주 6-7일차 98 - 131쪽
김현정
|
2021.06.09
|
Votes 1
|
Views 876 | 김현정 | 2021.06.09 | 1 | 876 |
226 |
[순종] 1주 5일차 81-97 쪽 (1)
김현정
|
2021.05.28
|
Votes 1
|
Views 1011 | 김현정 | 2021.05.28 | 1 | 1011 |
Post Views: 8,493
교회에서 설교하는 중에 교만을 지적하는 말을 들으면 우리는 으레 옆자리에 앉은 성도에 관한 이야기려니 생각한다.
‘혹시 나를 두고 하시는 말씀인가?'라고 생각하지 않고 그저 ‘저 사람이 마음에 새겨들으면 좋으련만' 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렇게 생각하는 순간, 우리는 교만한 사람이 된다.
예수님은 다른 사람 얘기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에 게 말씀하신 것이다.
우리도 그런 착각에 빠질 때가 얼마나 많은가.
하나님은 사림들을 위해서 그 법 들을 주셨건만, 바리새인은 사람들이 그 법을 위해 살게 만들었다.
이렇게 말할 때, 우리도 바리새인이 될 수 있다 ㅡ ‘‘감히 나한테 그런말을 해?’’,”사과할 사람은 내가 아니야’’ ‘‘이건 공평하지 않아' “누구의 도움도 필요하지 않아’’ ‘‘내가 아니라 네가 문제야(바리새인은 주변에서 문제를 찾을 뿐 거울은 들여다보지 않는다.)‘혹시 너도 들었니?''..
Sometimes we could be the Pharisees, when we say these; How dare you say that to me? I’m not the one to apologize. This is not fair. I don’t need anyone’s help. You are the problem, not me(The Pharisees only look for problems around them, but don't look into the mirror.) Have you heard of it, too?